레이노현상 은 우발적인 혈 관경련성 질환이다.일반적으로 손가락과 발가락의 피부부위의 작은 동맥을 침범하며 보통 일측성으로 나타난다.레이노질환은 양측성으로 나타나는데 레이노 현상과 용어를 혼용한다.레이노 현상은 30대에 보통 발생하고 레이노질환은 17-50세 사이에 발생한다.레이노 현상은 남녀 모두에게 발생하는 반면, 레이노질환은 일반적으로 여성에게서 볼 수 있다.병태생리기전은 둘 다 같으며 원인은 알 수 없다.환자는 전신성 홍반성낭창과 같은 전신성 결체조직 질환이나 진행성 전신경화증을 흔히 동반한다.혈관경련 결과 피하의 혈관이 수축되어 사지가 창백 해지며 나중에 청색증이 나타난다.혈관경련이 완화되면 조직은 불그스레해진다.혈관경련은 발작 형태로 간헐적으로 나타나며 추위와 스트레스를 받으면 악화 된다.심한 경우 발작이 오래 지속되어 손,발가락에 괴저가 생긴다.임상증상은 레이노 현상에서는 손의 색깔이 변화를 일으킨다.밑에 사진과 같다.원인은 자극에 노출되면 손가락 동맥이 경련을 일으켜 수축되며 피부가 창백해진다.산소가 제거된 헤모글로빈이 손가락 부위에 운반되기 때문에 청색증을 띠고 손가락 끝 부분에 괴저가 생긴다.경련이 완전히 멈추면 발적이 나타난다.통증, 부종, 무감각, 차가움을 호소한다.
치료와 간호는 약물치료 혈관수축을 예방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약물 요법을 한다.일반적으로 처방되는 약은cyclandelate(Cyclospasmol), phenoxybenzamine (Dibenzyline)이다.이러한 약은 얼굴을 화끈거 리게 하거나 두통, 저혈압, 현기증 같은 부작용을 나타내 환자가 불편해할 수 있다.투약은 겨울에만 필요하며 추위에 노출되기 1~2시간 전에 예방적으로 복용한다.교감신경절제술 증상이 심하면 약물요법으로 증상 완화가 되지 않으므로 교감신경 절제술을 시행한다.말초신경은 재생되므로 교감신경 절제술의 장기적인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환자 교육 합병증은 예방을 위해 혈관수축을 예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양말, 털장갑, 목까지 올라오는 스웨터를 입어 몸을 따뜻하게 하고, 집안을 따뜻하게 하며 찬바람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몸을 따뜻하게 보온하는 것은 오한을 예방하고 혈류를 원활히 하므로 중요하다.얼음이나 냉동식품을 직접 만지지 않도록 한 다.카페인과 초콜릿 섭취를 제한하고 질병 조절을 위 해 금연하도록 한다.스트레스가 혈관을 수축시키므로 스트레스 관리, 이완요법, 바이오피드백 프로그램 등 이 도움이 될 수 있다.또 처방약물에 대해 교육한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스포스 셀렉트겔 성분 및 효능 부작용 (0) | 2017.08.30 |
---|---|
폐색성 혈전혈관염 의정보 (0) | 2017.08.26 |
혈관장애 대상자의 수술후 합병증과 간호 (0) | 2017.08.25 |
장사꾼 이야기2 (0) | 2017.08.24 |
정맥질환 의 정보 (0) | 2017.08.24 |